분포도 > 연속 분포 > 정규 분포 > 정규 확률...
Distributions > Continuous distributions > Normal distribution > Normal probabilities...

Linux 사례 (MX 21)

사례 값을 넣고, 분포도의 (꼬리) 방향을 정해주면 확률이 계산된다.

Linux 사례 (MX 21)
Linux 사례 (MX 21)
Linux 사례 (MX 21)
Linux 사례(MX 21)

pnorm(c(1.644854), mean=0, sd=1, lower.tail=TRUE)
pnorm(c(1.644854), mean=0, sd=1, lower.tail=FALSE)
pnorm(c(-1.644854), mean=0, sd=1, lower.tail=TRUE)
pnorm(c(-1.644854), mean=0, sd=1, lower.tail=FALSE)

Linux 사례 (MX 21)

'Distributions > Continuous distribu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Sample from normal distribution...  (0) 2022.03.12
1.3. Plot normal distribution...  (0) 2022.03.12
1.1. Normal quantiles...  (0) 2022.03.12

분포도 > 연속 분포 > 정규 분포 > 정규 분위수...

Distributions > Continuous distributions > Normal distribution > Normal quantiles...

Linux 사례 (MX 21)

확률을 넣고, 분포도의 (꼬리) 방향을 정해주면, 분위수가 계산된다. <확률>을 95%(.095)로 선택해보자. <낮은쪽 꼬리/높은쪽 꼬리> 선택에 따라 어떻게 값이 변하는지 살펴보자.

Linx 사례(MX 21)
Linux 사례 (MX 21)

qnorm(c(.95), mean=0, sd=1, lower.tail=TRUE)
qnorm(c(.95), mean=0, sd=1, lower.tail=FALSE)

 아래 화면에서 95% 확률로 <낮은쪽 꼬리/높은쪽 꼬리> 방향의 값을 확인할 수 있다.

Linux 사례 (MX 21)

 

'Distributions > Continuous distribu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Sample from normal distribution...  (0) 2022.03.12
1.3. Plot normal distribution...  (0) 2022.03.12
1.2. Normal probabilities...  (0) 2022.03.12

분포도 > 난수생성기 시드(seed) 생성기...

Distributions > Set random number generator seed...

Linux 사례 (MX 21)

번호 하나를 선택한다. 그 번호는 앞으로 생성되는 난수 값들을 기억한다.

Linux 사례 (MX 21)

set.seed(9723)

+ Recent posts